Computer Vision
![[OpenCV] 모션 인식 (Motion Detecting)](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cgYJq9%2Fbtrs9iys4Xe%2F08bcxMso6gwnLXuFXtR3h0%2Fimg.gif)
[OpenCV] 모션 인식 (Motion Detecting)
이번 포스팅에서는 openCV를 이용해, 움직임을 인식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본 글은 이세우님의 '파이썬으로 만드는 openCV 프로젝트' 책을 참고했습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openCV 카메라가 한 프레임씩 찍어서 윈도우에 송출하는 방식이라고 말씀드렸는데요. 움직임을 인식하는 원리는 여기에서부터 출발합니다. 움직임 인식의 원리? 현재 불러온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 사이의 값을 비교합니다. 여기서 값이란 픽셀마다 가지고 있는 RGB, 또는 GRAY스케일의 값을 의미합니다. 즉, 픽셀마다의 차이값을 통해, 변했다면 움직임이 있는 것이고 변하지 않았다면 움직임이 없다고 판단하는 것입니다. 전체 윈도우 사이즈를 대상으로, 해당 차이값 어레이를 구하고, 어느 부분이 움직임이 생겼는지 구할 수 있습니다..